최근 국회 예산안 통과와 함께 청년들을 위한 정책도 많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청년도약계좌(23년 6월 출시 예정)는 월 70만 원씩 5년 납입하면 정부기여금과 함께 5000만 원 마련이 가능해 인기가 예상되는데요. 관련사항 살펴볼게요.
◆ 청년도약계좌
당초 10년 만기 1억 계획으로 추진되었는데요. 예산 부족등 현실적인 사유로 5년 만기 상품으로 출시 예정이라 합니다. 기존 청년희망적금 (2024년 2.3월 사업종료) 상품을 대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가입기간이 5년인 부분(청년희망적금 가입기간 2년)에 있어서 실효성을 따져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목돈 마련 지원 프로그램
1.1 만기 5000만 원 목돈 마련 지원 프로그램
▶대상 : 만 19세~34세, 개인소득 연간 6000만 원 이하이고,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소득이 높은데 개인소득이 낮아 정부지원금을 받는 부작용을 방지 위해 가구소득기준 추가)
※ 2022년 2023년 중위소득 기준표 및 중위소득 180% 금액
2023년 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207만 7892원입니다. 따라서 180% → 3,740,206원 이 됩니다
▶방법 : 5년 만기 기준으로 월 40만 원~70만 원 납입
▶가입기간 : 2023년 6월~2025년 12월 31일
▶납입한도 : 연 840만 원(월 최대 70만 원), 5년간 의무가입 시 정부지원금 가능
▶중도해지 시 : 5년 의무가입 기간 내 중도해지 시에는 감면세액의 추징이 있습니다
▶세제혜택 : 계좌 만기 시 발생하는 이자.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합니다
▶정부지원 기여금: 3%~최대 6%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기여금은 개인.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해서 결정되는데요 소득이 높으면 본인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3%의 기여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 예정입니다.
월 70만 원에 6% 의 기여금이 지원되면 74만 2000원으로 5년간 4452만 원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적립금액을 정부는 예. 적금. 펀드. 국내상장주식 등으로 운용해 수익분을 지원금으로 사용 예정입니다. 다만,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정부가 전부 부담합니다. 이 말은 손실이 나도 약정 기여금은 정부가 지원하고 기여금을 초과하는 수익이 나더라도 정부에 귀속되는 것이지요.
▶은행 금리
여기에 추가로 은행의 이자수익 연 5% 금리로 계산 시 약 5000만 원 정도의 금액이 나옵니다. 하지만 최근 금리가 높으니 당초 5% 보다 높은 7~8% 수준의 이자수익이 가능할 수 있겠네요.
▶만기금액: 월 최대 금액인 70만 원을 기준으로 5년간 납입 시, 만기 때 약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3년 금융위원회 예산안 주요 내용
구분 | 예산 |
청년도약계좌 | 3678억 |
청년희망적금 | 3602억 |
혁신성장펀드 | 3000억 |
새출발기금 | 2800억 |
특례보금자리론 | 1668억 |
최저 신용자 특례보증 | 280억 |
핀테크 지원 사업 | 140억 |
2. 청년도약계좌 예상 가입자 및 소요예산
2.1 예상가입자
금융위원회의 예상 가입자는 306만 명인 데요
2.2 인당 월평균 최대 정부 기여금 지원액 및 소요예산
1인당 월평균 최대 정부 기여금 지원액은 2만 4400원이고요. 청년의 적금 납부율을 80% 산정 시 정부 기여금은 연간 7000억 정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 ft 청년도약계좌와 차이점)
1. 출시일 : 2022년 2월
은행이자, 정부저축 장려금, 세제혜택 등을 합쳐 실질 이자율 10% 이상으로 인기가 좋았죠.
2. 상품구조
기본금리 5% + 취급은행별 최대 1% 우대금리 적용 + 서민금융진흥원 지원의 저축장려금 최대 36만 원+ 이자소득세 (15.4%) 면제 + 선납 시 월 3만 원 정도 이자 추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 최대 6% + 은행금리(5~7%)+ 세제혜택(이자 배당소득 비과세)으로 구성됩니다)
3. 납입방식 및 납입한도
자유적립식 예금으로 월 50만 원 이하 납입 가능하고, 적금 가입일보다 빨리 납부 시 즉 선납 시 은행은 그 기간만큼 추가 이자 지급됩니다. 단 1년 납입한도는 600만 원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하고 년간 납입한도최대 840만 원입니다)
4. 가입대상 및 가입기간
2021년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인 만 19세~34세 청년 대상으로 가입기간 2년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19세~34세 청년으로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이며,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이 가입 대상이고 의무가입기간은 5년입니다)
5. 상품종료 시점
청년희망적금은 추가 가입 없이 2년 만기 2024년 2.3월 사업 종료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게좌는 월 70만 원 5년 납입 시 만기 시 5000만 원 지급합니다)
'시사,정세,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유학/여행 카드 비교- 하나은행 트래블로그, 트래블월렛 , 비바 X (0) | 2023.01.29 |
---|---|
모인 해외 송금 - 빠르고 저렴하게 하는 방법 (1) | 2023.01.28 |
중.대선거구제 와 소선거구제 개념과 장점 단점 (0) | 2023.01.15 |
가석방, 사면, 복권 의 정의 내용 종류 차이점 (0) | 2022.12.23 |
'금융투자소득세' 내용 및 2년 유예(~2025년 까지) 합의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