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세,세금23

장례 절차 부 터 상속세까지 기간 별로 꼭 챙겨야 되는 10가지 부모님 등 가까운 인척이 갑자기 돌아가시면 경황이 없어 꼭 챙겨야 될 여러 가지 일들이 누락되어 나중에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례 절차와 상속세 등을 미리 알고 계시다가 상조회사와 함께 챙겨 나가시면 발생 가능 할지 모르는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부모님 사망 시  챙겨야 할 일갑자기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크나큰 슬픔으로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연로하신 부모님이 계시다면 미리 기억하기 좋은 형태로 메모해 두시면 좋습니다  1. 사망진단서 발급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사망 한 병원에서 사망진단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차후 각종 신고( 상속세 등) 시 필요하니 3부 정도 발급받아 두시는 게 좋습니다  2. 각종 영수증 챙기기( 장례비용, 장지 납골 비용 등)장례비용은 말 그대로 비용이기 때문에 상속세 .. 2024. 10. 11.
세법 개정안 발표 임박 - 금융 투자 소득세 (금투세) 폐지 가능 할까 ? 정부가 다음 주 중 세법 개정안을 발표한다고 하는데요. 다행히도 금융투자 소득세 폐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금융투자 소득세(금투세)가 세금 부담을 증가시켜 투자자 이탈 및 시장침체를 가속화시키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투자 소득세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 금융투자와 관련하여 발생한 양도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제도로 시행시기는 2024년 1월 1일 부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금융 투자 소득세 세율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금융투자로 발생한 연간 소득 중  국내 상장주식은 5,000만 원 해외. 비상장주식. 채권, 파생상품은 250만 원의 기본 공제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과세표준 3억 이하는 22% 3억 원 초과 시 27.5% 의 세율로 과세하는 .. 2024. 7. 19.
재산세 과세 표준, 공정 시장 가액, 납부 기간( 주택,토지, 건축 물 등)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7월과 9월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부과 대상은 토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토지와 주택 건축물에 해당됩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 feat 공정시장가액비율)재산세 과세표준은 지방세법 4조(취득세 과세표준)의 규정에 의한 시가표준액으로 합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인데요. 토지, 건축물, 주택에 대한 과세표준은 시가 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산정하게 됩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과표)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시가격의 비율 ☞ 재산세 과세 표준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세 납부기간재산세는 서두에 말씀드린 바 대로 6월 .. 2024. 7. 5.
ISA 계좌 종류 가입 방법, 가입 자격, 납입 한도, 비과세 한도 및 세율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ISA와 IRP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장점이 많은  ISA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소득의 많고 적음 여부를 떠나 ISA 계좌는 무조건 개설하는 게 유리합니다 ISA 개념( 개인형 종합자산관리계좌)하나의 계좌로 주식 및 다양한 금융상품(채권, 국내상장주식, 펀드, 리츠, ELS , RP)등에 투자하면서 절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를 말합니다. 사실 직접 상품에 가입해 운영하지 않는 경우 그 개념과 장점 및 단점이 혼동되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ISA 계좌는 꼭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그 이유를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입방법 ISA는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1인 1 계좌가 원칙입니다. 하지만 증권사 간 .. 2024. 6. 30.